본문 바로가기

온라인 강의 내용/패캠 - MBA 2020 과정 (완료)

[MBA 신규제품 런칭, 브랜드마케팅] 3.리서치 제외, 가격 설정과 그 구조

신제품 개발할때마다 리서치를 할 수있을까?

비용/시간 등의 이유로 모든 제품 개발에 다 리서치 방식을 다 적용할 순 없다.

 

- 사장님 지시로만 진행되는 경우, 거의 문제가 없다.

 

- 담당자의 의지?

  • 컨셉보드 포함 - 시장분석자료
  • 준비 > 회의 , 의견교환 <-> 반영 > 시제품 개발
  • 임원진 보고 때 타부서의 지지를 얻을 수도 있다.
  • 시제품 테스트? 내부직원이나 지인 등

린스타트업 : 아이디어를 빠르게 최소요건제품(시제품)으로 제조한 뒤 시장반응을 통해 다음 제품 개선에반영하는 전략, 방식

 

린스타트업과 전통적인 상품개발의 방식 차이 

 

가격의 중요성

가격설정

고가

  • 마진을 무작정 많이 남긴다는 의미가 아니며 시장에 형성된 가격보다 사람들이 통상적으로 인지하는 가격보다 비싸다는 의미
  • 고가 = 장벽 역할을 할 수 있다. 모두가 원한다고 살수있는 건 아니다
  • 벤츠, 루이비통, 다이슨, 애플 등
  • 고가를 구축/받을 만한 '이유'가 명백하다. ex) history

합리적 가격 (저가)

  • 가성비를 만족시킬 수 있는 가격대비 품질
  • 샤오미 , 이케아 [가구의 재룡, 포장에 골판지를 사용? , 제품 설명서의 남는 부부넹 채용공고 게시? ]

 

경쟁사 대비

  • 고가/합리적 가격이란 건 모두 경쟁사나 기존 시장를 기준으로 나온 관점
  • 여기서는 주요 경쟁사 대비로 가격을 높이거나 낮게 잡는걸 의미

 

자사 손익

  • 모든 가격설정은 다 자사 손익을 고려할수 밖에 없다.
  • 여기서는, 다른 상황보다도 자사의 정해진 손익 기준에만 집중에서 가격을 정한다는 의미.
  • ex) 매출 총이익의 30%

 

가격 구조의 이해

실제 가격 설정

  • 가격을 설정하는 구조를 익히기
  • 회사마다 정해진 가이드가 다르다
  • 구조를 알고 있으면 응용할 수 있다.

판매가 1600원짜리의 커피 제품을 편의점(유통업체)으로 팔 경우,

부가세 > 유통업체의 유통 마진 > 매출 (제품 제조사) > 매출원가 (음료+빨때+인건비+물류비 등) > 매출 이익

매출 총이익 (Gross Margin) - 매출액에서 매출원가를 차감한 금액

매출원가 (Cost Of Goods Sold) - 판매된 상품의 생산원가 혹은 구입 원가

 

실제 가격구조의 이해 - 프로모션 비용

  • 마케팅 비용 + 회사의 일반적인 관리비
  • 마케팅 활동은 가격 설정 후 정해지는 경우가 많다.
  • 유사한 제품군의 마케팅 비용 및 관리비 비용 발생을 가정
  • 따라서, 회사의 매출액 대비 판매관리비 비중을 적용

유통마진과 판매관리비 처리는 : 회계 기준, 거래 조건에 따라 차이가 존재.

자사 직영 판매가 아닌 경우는 항상 발생하는 비용이기에 항상 반영 필요

 

실제 가격 설정 예시 : 자사 손익 기준 (모든 유통채널)

유통 비중은 채널 별 정한 가격에서 변동가능성을 밝히고 영업 담당들과 협의

각 담담들의 판매수량 & 금액을 확인 한다. 매출액을 확인하고 채널별 비중을 재반영

ex) 오프라인 3억8천 / 온라인 3억 / 자사몰 1천

오프라인 55% , 온라인 43% , 자사몰 2%

자사몰에서 핳인혜택을 높이면 다른 오프라인, 온라인 채널을 잃을 수가 있다.

 

어떤 기업의 예시 구조

각 기업의 원가, 매출, 손익 기준을 익히는 시간은 각 기업마다 기준이 다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