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온라인 강의 내용/패캠 - 서비스 기획

[Part1. 개론] 그로스 해킹 서비스 기획. 지표

Growth Hacking

  • 데이터를 기반으로 정의한 핵심지표를 바탕으로 실험을 통해 배움을 얻고,
  • 이를 빠르게 반복하면서 제품, 서비스를 성장시키는 것

서비스의 탄생

새로운 아이디어 발굴 > 서비스 기획, 개발 > 오픈, 런칭

우리가 만든 제품, 서비스가 가지고 있는 문제를 모르는 경우가 많다. 서비스를 만들 때 시장, 고객분석이 필수적

MVP (Minimum Viable Product)

시장에 대해 잘 모른다는 전제하에 고객, 시장의 반응을 확인하기 위한 과정. 실제로 제품을 만들어서 반응을 보고 수집하는 과정

Build > Measure > Learn의 반복

Product-Market Fit

 

지표 활용

- 리텐션 (Retention Rate) : 사용자들이 서비스에 얼마나 꾸준히 남아서 활동하는지 확인

- 전환율 (Conversion)

한 단계에서 다음 단계로 넘어가는 사용자의 비율

사용성이나 UI/UX의 영향을 많이 받는 지표

순수 추천 지수 (Net Promotor Score, NPS)

 

AARRR

Acquisition (고객획득)

  • 신규고객을 어떻게 유치할 것인가?
  • 신규고객은 어떤 방법으로 우리 제품/서비스를 처음 접하고 있는가?
  • 온/오프라인 광고, 이메일, SNS 등 다수의 채널이 존재
  • 측정지표 : CPA, CAC, 신규방문자수, 신규방문자 유입경로

Activation (활성화)

  • 고객들이 우리 서비스의 핵심기능을 잘 사용하는가?
  • 고객의 제품, 서비스 첫 사용경험은 긍정적인가?
  • 활성화 단계의 핵심은 퍼널에 대한 분석이 동반된다.
  • 측정지표 : 트래픽, 체류시간, PV, 회원가입률, 구매전환율 등

Retention

  • 고객들이 우리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재사용하는가?
  • 초기 비즈니스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
  • AARRR 중에 가장 개선이 어려운 부분
  • 고객 동선전반에 걸쳐서 측정
  • 측정지표 : 리텐션율, 이탈률 등

Revenue

  • 고객들이 우리 서비스에 돈을 지불하는가?
  • 서비스에 비즈니스 모델 있는지 확인하고, 비즈니스 모델이 잘 동작하는지 비용대비 수익이 안정적인지 확인 필요
  • 측정지표 : ARPU (Average Revenue Per User), 총매출 등

Referral

  • 고객들이 주변 지인들에게 서비스를 소개, 추천하는가?
  • 측정지표 : 고객획득비용 (CAC), 바이럴 개수 (Viral Coefficient) 등

좋은 지표? 상대적, 쉬운 이해도, 비율로 표현되며 행동을 바꾼다.

정성적 & 정량적

허상 & 실질

탐색 & 보고

선행 & 후행

상관 & 인과

 

OMTM (One Metric That Matters)

지금 가장 중요한 한 가지 지표의 약자

제품/서비스 성공의 핵심 중 하나는 정확한 목표/방향을 정하고 그것을 유지하는 것

고정되지 않고 시간이 흐르면서 변함

 

KPI (Key Performance Index)

과업 기반회사에서 많이 쓰이는 개념

팀이나 부서 단위로 서로 다르게 설정됨

업무를 하면서 생기는 숫자를 관리, 일반적으로 성과측정을 위해 활용

달성 여부 자체가 굉장히 중요한 지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