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온라인 강의 내용/패캠 - 서비스 기획

[Part1. 개론] IT 지식 : 필수 용어, 방법론, 앱 개발, API

필수용어 중

마케팅 관련 용어

  • PV (Page View) - 페이지 방문수
  • UV (Unique View) - 사람당 중복을 제외한 페이지 방문수, 순수 방문수
  • CPM (Cost Per Mille) - 광고가 1000번노출시 책정되는 금액 과금 방식
  • CPC (Cost Per Click) - 광고노출과 상관없이 한 번 클릭시마다 과금되는 방식
  • CPI (Cost Per Install) - 앱 설치 건당 과금방식
  • CPA (Cost Per Action) - 단순히 광고를 클릭한 것을 넘어서, 고객이 특정행동을 했을때 과금하는 방식
  • CPV (Cost Per View) - 광고 시청당 비용
  • CTR (Cost Through Rate) - 클릭률, 광고노출횟수대비 클릭이 일어난 횟수
  • DAU (Daily Active Users) - 하루 동안 방문한 순수 사용자수를 집계
  • WAU (Weekly Active Users) - 일주일동안 방문한 순수 사용자 수 집계
  • MAU (Monthly Active Users) - 1달간 방문한 순수 사용자 수 집계
  • PU (Paying Users) - 구매.결제자 수

 

UI 관련

  • Toast - 사용자에게 짧은 메시지 형식으로 정보를 전달하는 팝업

 

추천 사이트

producthunt.com - 스타트업의 제품을 보여주는 플랫폼

disquiet.io - 메이커들을 위한 SNS

 

프로젝트 방법론

워터폴

  • 1970년 Winston W.Royce가 고안한 방식
  • S/W개발 외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사용됨
  • 단계 구분이 뚜렷하게 나뉘어진 순차적 프로젝트 관리 방법론

* 장점

  • 각 단계의 문서와 구조적 설계로 새로운 협업자가 팀에 합류하게 되더라도 쉽게 적응할 수 있다.
  • 각단계의 결과를 예측하기 쉽고 평가 프로세스가 분명
  • 시간을 효율적으로 관리가 가능

* 단점

  • 특정단계에서 문제 발생시 전체 타임라인에 영향을 줄수있다.
  • 한 단계가 끝나면 전단계로 역추적하기 어려움
  •  QA가 프로세스 후반에 진행됨

* 적합한 경우

  • 프로젝트의 최종 목적이 명확히 정의되어 있는 경우
  • 필요 기술이 파악되어 있는 경우
  • 모호한 요구사항들이 없는 경우

 

애자일

  • "기민한, 날렵한"뜻으로 좋은 것을 빠르게 취하고 낭비없게 만드는 방법론
  • 신속한 반복작업을 통해 실제 작동가능한 제품/서비스를 개발해 지속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방식
  • Less Document-Oriented, Code-Oriented

* 애자일 선언문의 주요 가치

- 개인과 개인 간의 상호작용이 프로세스 및 툴보다 우선

- 고객과의 협업이 계약 협상보다 우선

- 변화에 대응하는것이 계획을 따르는 것보다 우선

 

장점

  • 변화하는 요구사항 수용이 쉽다
  • 최종목표가 확실하지 않은 프로젝트에 용이함
  • 사용자 의견을 수용하기 쉬움

단점

  • 계획의 불확실성
  • 팀을 구성하기 어려움
  • 최종제품이 요구사항과 다를 수 있다
  • (문서부족 건?)

 

앱 개발방법론

네이티브 앱

모바일 기기에 최적화된 네이티브 언어로 개발된 앱

빠르고 안정적이며 원하는 UI/UX 구현 가능

플랫폼 API (카메라, GPS, 주소록, 신체인증 등) 기능을 활용할 수 있다

플랫폼 간 (iOS, 안드로이드) 간 호환이 되지 않기에 추가 개발이 들어가며 비용과 시간이 많이 들어간다

 

웹 앱

모바일 화면에 맞게 구성한 웹 (반응형)

웹 개발방식과 동일하여 빠르게 개발이 가능함

다양한 플랫폼에서 실행가능

앱 배포없이 기능을 자유롭게 수정가능하여 유지보수 용이

플랫폼 API 활용못하며 네이티브앱보다 유려한 UI/UX 구현이 어려움

 

하이브리드 앱

네이티브 & 웹 앱의 장점이 결합된 형태. 웹앱에 네이티브 앱 프레임을 씌운 형태

네이티브의 API 활용이 가능하며 웹개발 기술을 활용해서 앱을 개발할 수 있으나 앱 네이티브 기능에 접근을 위해선 플랫폼별 개발자가 필요하다

 

 

API문서를 통해 서비스 기획

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app에서 사용할수있도록 OS나 프로그래밍 언어가 제공하는 기능을 제어할 수 있게 만든 인터페이스.

프로그램간 데이터를 주고받는 방법, 소통의 매개체

 

Interface? 컴퓨터 시스템끼리 정보를 교환하는 공유경계 의미. 터치스크린, 마우스같은 장치들로 데이터입출력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받음

 

Private API

내부에서 사용되는 API로 회사 내부 자체 제품/서비스 운영, 개선위해 사용 사용됨. 외부나 제3자에 노출되지 않음

Public API

개방형/오픈 API . 누구나 제한없이 API를 사용가능

 

JSON (JavaScript Object Notation)

많이 사용되는 데이터 교환 방식이며 단순히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현 방법.

용량이 작아서 xml을 대체헤서 많이 사용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