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온라인 강의 내용/패캠 - 서비스 기획

Part1. 개론 - 스토리보드, 테스트, 서비스 오픈 및 그 이후

스토리보드 (상세기획서)

  • 일반적으로 기획서라고 칭하는 문서 (서비스기획 문서의 최종산출물)
  • 스토리보드 = 상세기획서 = 화면설계서 등의 용어로도 불려짐
  • 최종적으로 유관부서에게 공유하는 문서

구성요소

서비스 개요 : 목표, 주요 기능

서비스 구성 : IA, 서비스정책 및 주요 서비스 프로세스

상세 기획 : 화면 시나리오, 화면별 와이어프레임 + 기능 설명

 

테스트

본격 테스트, QA

Quality Assurance : 일정한 효율과 품질이 보장되어야 하는 활동을 뜻함

개발완료후 서비스 오픈전 안정적으로 작동되는지, 문제 될만한 사항은 없는지 등을 살펴보는 단계

QA팀에서 진행하게 되거나, PM또는 기획자가 진행하는 경우도 존재

QA 순서

  • 기획서 분석
  • 테스트 범위 설정 (단말 등)
  • 테스트 케이스 (Test Case, T/C) 검토 및 작성
  • 테스트진행 > 버그 리포트
  • 최종 테스트 진행
  • 결과 리포트 작성

체크리스트

Qa팀에 요청하기 전에 스스로 기획한 기능이 잘 개발되어 있는지 사전 테스트 진행

QA팀에 요청할땐 충분한 일정을 감안해 요청하여야 한다

 

서비스 오픈

서비스 오픈 전

최종 QA 및 테스트결과 확인하기

서버, 앱 배포 일정, 배포 시나리오 확인하기

마케팅 / 프로모션 확인하기

고객센터 및 유관부서 업무매뉴얼 작성 및 서비스 오픈 공유

 

오픈 당일

오픈 이후 운영환경에서 테스트 진행하기

모니터링

 

오픈 이후

고객센터, 앱스토어 리뷰 등에 올라오는 CS 대응 및 개선 포인트 찾기

지속적인 서비스 로그 모니터링

일/주/월별 등 지표 분석

 

회고

목표 : 제품 및 개인 성장. 업무 확인

KPT (Keep, Problem, Try) : 짧은 시간내 구성원 생각 공유, 실행가능하고 측정가능한 Action Item 도출

 

타임라인 리뷰 : 프로젝트 진행 기간 동안 이슈사항이나 사건들을 타임라인으로 표시해 회고하는 방법

주요 사건을 5F로 공유해보기

Fact

Feeling

Finding , 교훈

Future Action

Feedba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