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업 생각해보기/사업, 경영 관련 정보수집

예전에 모아둔 글 다시 보기 - 창업 아이템 선정할 때 / 창업 실패 유형 / 인재중시기업의 7대 성공 전략

이전의 노트를 정리하다 거의 20년 전? 인가 "창업", "투자" 등의 내용을 메모하다가 쓰기를 그만둔 노트를 보게 되었다.

계속 꾸준히 정리했어야 했는데..

여튼 기록했던 내용을 다시 볼 겸 옮겨 적는다.

 

목차

* 창업 아이템 선정 시

* 창업의 실패 유형

* 인재 중시 기업의 7대 성공전략 <예전에 쓰던 거라 이건 지금 실정에 안 맞을 수는 있을 듯?

 

창업 아이템 선정 시

1. 누구나 좋다고 생각하는 아이템에 현혹되지 말라

2. 사업아이템에도 수명이 있다

  • 제품이나 서비스의 Life Cycle을 고민하자>

3. 현재 직장을 중시하라

  • 사업아이템 선정의 주요 통로?
  • 그리고 위험을 줄이기 위해서도 필요할듯싶다.
  • 내가 예전에 들었던 어떤 창업주는 일단 자기 일을 하면서 다른 사람을 잠시 대표이사자리를 맡겼다던데?

4. 단계를 밟아라
5. 민감한 사업아이템, 미확인된 아이템을 경계

6. 하이테크보단 하이터치형 (기존 상품의 일부 성능이나 디자인 등을 개선)

  • 들은 것 중 "문제점"을 발견해서 개선하는 걸 강조하는 경우도 존재했다.
  • 나도 이걸 좀 고민 중에 있다. 애당초 난 천재가 아니니까.

7. 조급하지 마라

이건 뭐 답이 없긴 하다.

조급하게 상품소싱하다가 안 좋았던 경험이 있다.

  • 1. 외장형 하드디스크를 판매하다가 제대로 못 팔고 반품
  • 2. 액세서리를 60만원어치?샀다가 결국 얼마 못 팔고 결국 고물상에 3천원에 떠넘김

지금도 상품소싱이라고 하면 조심스러워진다.

8. 유망아이템에 대한 선입견을 버려라

9. 사양산업을 무시하지 마라

10. 창업자의 적성, 경험, 능력을 우선적으로 고려

 

창업의 실패 유형

  • 전 직장의 틀을 버리지 못하고 허세 (특히 전직 이사, 상무같은..)
  • 소극적 성격
  • 한 아이템으로 평생 먹고살려고 한다
  • 시장상황을 보지 않고 덤빈다
  • 위기가 닥치면 허둥대거나 쉽게 좌절
  • 대형할인점이나 양판점과 승부하려 한다
  • 차별화된 나만의 영업 전략이 없다
  • 지나치게 유행에 민감한 아이템을 선정
  • 업종특성에 맞지 않는 입지선정
  • 자금 부족에 대비 <!평소 대출 관련 정보나 담보물을 대비>

 

인재 중시 기업의 7대 성공전략

1. 일하고 싶은 회사를 만든다
2. 즐거운 마음으로 고객을 감동
3. 어려워도 인력감축하지 않는다
4. Fun 경영을 한다
5. 똑똑해도 사풍에 적응하지 못하면 탈락시킨다
6. 사내결혼 장려
7. 창의적으로 기술혁신

내용이 옛날이다보니 모두 다 받아들이기엔 안 맞는 사항도 존재할 것이다.

그래도 한 번 곱씹어 볼만한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