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업 생각해보기/사업, 경영 관련 정보수집

린스타트업. 다시 조회해보자

예전에 린스타트업 (Lean Startup)이란 책과 개념을 보고, 스타트업 구상을 했고, 지금도 하고 있다.

MVP (Minimum Viable Product, 최소기능제품) 라는 개념은 계속 머리에 남아 있는데도

막상 뭔가 만들려고하면 (알고리즘 매매 프로그램도 그렇고) 간혹 그 이론대로 실천을 못하고 있다.

미실천도 미실천이지만

괜히 어설픈 완벽주의?로 인해서, 일 진행은 잘 안되면서 머리만 복잡한 상황?

 

이에 린스타트업을 다시 조회해봤다.

 

목차

  • 린스타트업이란?
  • 린스타트업의 실패사례

 

린스타트업이란?

린스타트업(Lean Startup)은 에릭 리스(Eric Ries)가 제시한 경영 방법론으로 주로

창업 초기 기업들이 불확실성을 줄이고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성공 확률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이 방법론은 "낭비를 줄이고", "빠르게 시장 검증을 진행하며", "고객 피드백을 바탕으로 지속적으로 개선하는" 것에 중점을 둡니다.

 

주요 개념

  1. MVP(Minimum Viable Product): 최소 기능 제품. 고객에게 가장 중요한 핵심 기능만을 포함한 제품을 빠르게 출시하여 시장 반응을 확인하고, 불필요한 자원 낭비를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2. Build-Measure-Learn 사이클: 제품을 빠르게 개발(Build)하고, 고객 반응을 측정(Measure)한 뒤 이를 통해 배움(Learn)을 얻는 과정을 반복합니다. 이 과정을 통해 제품이나 비즈니스 모델을 지속적으로 개선합니다.
  3. 피벗(Pivot): 현재 사업 방향이 잘못되었거나 고객의 니즈와 맞지 않는 경우, 새로운 가설이나 전략으로 전환하는 것을 말합니다. 린스타트업에서는 피벗을 실패로 보지 않고, 중요한 학습의 과정으로 간주합니다.
  4. Validated Learning(검증된 학습): 실험과 고객 검증을 통해 얻은 실제 데이터를 바탕으로 비즈니스 모델의 가정이 맞는지 확인하는 과정입니다. 고객 피드백을 받아 제품을 개선하고 성공적인 모델을 구축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5. 고객 개발(Customer Development): 제품을 만들기 전에 고객의 문제와 니즈를 먼저 확인하고, 이에 맞춘 제품을 개발하는 전략입니다.

린스타트업의 장점

  • 자원 낭비 최소화: 초기부터 불확실성을 줄이고 시장의 반응을 빠르게 확인할 수 있어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 빠른 피드백: 고객의 실제 반응을 빠르게 받아 제품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 유연성: 피벗을 통해 잘못된 가정을 수정하고 더 나은 전략을 시도할 수 있습니다.

결론

린스타트업은 창업 초기의 불확실성을 줄이고 자원의 효율성을 극대화하여 성공 가능성을 높이는 경영 방법론입니다.

빠른 실행, 고객 피드백 수용, 지속적인 개선이 핵심이며, 실패를 빠르게 인식하고 새로운 길로 나아가는 능력이 중요합니다.

 

- 이론적인것과 실전은 다르다는건 모두가 알것이고 한 번 실패사례가 있는지 조회해봤다.


 

린스타트업의 실패 사례

린스타트업(Lean Startup) 방법론은 빠르게 가설을 검증하고 피드백을 통해 개선하는 과정을 강조하지만,

이를 적용했음에도 불구하고 실패한 사례들도 존재합니다.

이러한 실패는 다양한 요인에서 발생하며, 린스타트업 방법론의 한계나 오용으로 인한 결과일 수 있습니다.

아래에 몇 가지 대표적인 실패 사례를 설명하겠습니다.

 

실패사례

1. Webvan (웹반)

  • 배경: Webvan은 1999년 설립된 온라인 식료품 배송 서비스로, 인터넷 붐 속에서 성장했으나 2001년에 파산했습니다. 초기에는 린스타트업 방식을 어느 정도 따르며 시장을 개척하려 했습니다.
  • 문제점: 너무 빠르게 확장한 것이 주요 실패 요인 중 하나였습니다. Webvan은 고객 반응을 충분히 확인하기 전에 전국적인 확장을 시도했고, 대규모 물류 인프라에 과도한 자본을 투자했습니다. 이는 린스타트업의 "최소 기능 제품(MVP)" 전략을 무시하고, 검증되지 않은 가설을 기반으로 과도한 자원을 소모한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 교훈: 초기 시장 검증 없이 확장을 시도하면 자원 낭비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린스타트업 방식은 빠른 피드백을 통해 단계적으로 성장해야 함을 강조합니다.

2. Color Labs

  • 배경: Color Labs는 2011년 설립된 소셜 미디어 스타트업으로, 사진 및 비디오 공유 앱을 제공했습니다. 이 회사는 벤처 투자를 통해 초기 단계에서 4,100만 달러를 모금하며 주목받았지만, 제품 출시 후 2년 만에 문을 닫았습니다.
  • 문제점: 이 회사는 MVP를 만들지 않고, 대규모 자본으로 초기 제품을 완성한 후 곧바로 시장에 출시했습니다. 그러나 고객이 원하지 않거나 이해하지 못한 제품을 제공하면서 시장의 니즈와 불일치했습니다. 고객 피드백을 기반으로 한 빠른 학습이 이루어지지 않았습니다.
  • 교훈: 대규모 투자를 받았더라도 고객 피드백을 기반으로 제품을 개선하는 과정이 중요합니다. 린스타트업의 검증된 학습 과정 없이 대규모 제품을 출시하는 것은 위험합니다.

3. Quirky

  • 배경: Quirky는 2009년 설립된 크라우드소싱 제품 개발 플랫폼이었으며, 사용자들이 제안한 아이디어를 제품화하는 과정을 진행했습니다. 이 회사는 린스타트업 방식을 어느 정도 따르며, 고객의 아이디어를 기반으로 빠르게 제품을 만들어 시장에 출시했습니다.
  • 문제점: Quirky는 너무 많은 제품을 한 번에 개발하려고 했고, 제품 출시 후의 검증 과정 없이 무리하게 확장했습니다. 다양한 제품이 시장에서 실패했고, 결과적으로 2015년에 파산 신청을 했습니다.
  • 교훈: 린스타트업의 핵심인 피드백 루프를 제대로 실행하지 않고, 초기 성공에만 의존해 다수의 제품을 빠르게 출시하려 한 것이 실패의 원인이었습니다.

4. Zirtual

  • 배경: Zirtual은 온라인 비서 서비스를 제공하던 스타트업으로, 린스타트업 방식을 도입해 빠르게 성장했습니다. 그러나 2015년 갑작스러운 서비스 중단과 대량 해고로 위기를 맞았습니다.
  • 문제점: 급속한 성장에 따른 운영 및 재정 관리 실패가 문제였습니다. 린스타트업 방식의 빠른 성장과 실험적 운영이 장점이었으나, 재정적 안정성과 장기적인 계획을 고려하지 않았습니다. 결국 회사는 자금을 관리하는 데 실패하여 갑작스러운 운영 중단을 맞게 되었습니다.
  • 교훈: 린스타트업이 성공하려면 자금 관리 및 운영 안정성도 필수적입니다. 재정적 준비 없이 빠르게 확장하려는 시도는 실패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실패의 주요 원인

  1. 잘못된 피벗: 고객 피드백을 잘못 해석하거나 무리하게 피벗하는 경우, 자원 낭비와 더불어 시장과의 불일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2. 빠른 확장: 시장에서 검증되지 않은 상태에서 너무 빠르게 확장하려는 것은 실패의 주요 원인 중 하나입니다. 린스타트업은 단계별로 성장하는 것이 핵심인데, 이를 무시하면 실패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3. 피드백 무시: 고객 피드백을 무시하고, 제품 개발이나 시장 확장을 무리하게 진행하면 실패할 수 있습니다. 린스타트업에서는 지속적인 피드백 반영과 학습이 중요합니다.

결론

린스타트업 방법론은 많은 기업들에게 성공적인 전략을 제공하지만, 이를 제대로 적용하지 않거나 중요한 원칙을 무시하면 실패할 가능성이 큽니다.

고객의 피드백, MVP 전략, 피벗의 적절한 시기와 같은 요소들을 간과하지 않고, 적절히 실행해야만 성공 확률을 높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