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익계산서가 알려주는 정보 습득
단계별 이익
일정기간동안 기업의 모든 경영성과가 포함된 최종적인 이익의 지표.로 해석이 가능하다.
1. 매출액 // 판매활동의 결과
- 매출원가 // 구매.생산 활동으로 인한 비용
2. 매출총이익
- 판매비와 관리비 (판관비) // 판매.관리활동으로 인한 비용
3. 영업이익 // 영업활동에 대한 결과
+/- 금융수익 / 비용 // 투자. 재무활동
+/- 기타 영업외 손익 // 투자. 재무활동
4. 법인세차감전 순이익
- 법인세 비용 // 세무활동
5. 당기순이익 // 기업이 (이익을 내려고 하는) 모든 활동에 대한 결과
<이익창출이 목적이 아닌 단체.기업이 있을 수는 있겠지만..??>
ex) 영업이익이 (-) 지만 , 당기순이익이 (+) : 본업보단 영업외, 부수입, 재테크잘하는 회사로 이해할 수 있다.
재무상태표와 손익계산서간 상호 관계.
1. R&D 지출 (비용처리-연구개발비)
회사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좋은제품을 시장에 출시하기위한 R&D 비용으로 300만원을 현금 지출
무형자산(개발비) 항목 :+300만 하게되면, 이익이 과대평가되는 상황이 발생.
[연구비와 경상개발비의 현금 지출 : 이걸 자산으로 잡는지, 비용처리하는지 등을 봐야 한다.
이래서 바이오주의 회계분석이 어려운 이유 중 하나.]
같은 현금 변동을 어떤 항목에 넣느냐에 따라 기업의 재무상태의 변동이 생겨버린다.
2. 관리직 / 생산직 사원 인건비 지급
관리직 2천만명 * 1명을 현금 지급.
생산직 기술자에 대한 인건비 2천만원 (1천만 * 2명)을 현금지급.
가공비. 가공원가로 판단해서 재고자산으로 잡힌다 <???>
즉, 급여로 현금 유출이 아니고,
<현금을 만들기 위한> (재고) 자산으로 잡아서 처리한다.
<자산에 대해서 들은 것 중에서,
자산은 최종적으로 현금(수익)을 만들기위해 들어가는 자원으로 해석하기도 한다고...>
'온라인 강의 내용 > 패캠 - MBA 2020 과정 (완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MBA 재무] 1.자금조달, 예산집행 : 회계정보, 재무관리 / 순자산가치, 재무실사 (0) | 2021.12.22 |
---|---|
[MBA과정] 3.회계원리 - 손익계산서, 현금흐름표 관계 / 주석에 대해 (1) | 2021.12.18 |
[MBA과정] 1.회계원리 - 재무제표 (0) | 2021.12.17 |
[패스트 캠퍼스 MBA과정] 2. 데이터 기반 의사 결정 - 활용 (0) | 2021.10.24 |
[패스트 캠퍼스 MBA과정] 1. 데이터 기반 의사 결정 (0) | 2021.10.22 |